신경외과, 심장혈관흉부외과, 방사선종양학과, 재활의학과 의료진의 다학제 협진을 바탕으로 척추강내 종양(신경초종, 수막종, 척수 종양), 척추종양(거대세포종, 혈관종, 유골골종, 골모세포종), 전이성 척추 암(유방암, 전립선암, 신장암, 폐암 및 간암의 전이)등 척추 및 척추 신경조직과 관련해 발생하는 암 전반에 대해 포괄적인 치료를 담당합니다.
암종류
척추 및
척추신경암
세부 질병명
척추강내 종양 (신경초종, 수막종, 척수 종양)
척추 종양 (거대세포종, 혈관종, 유골골종, 골모세포종)
전이성 척추 암 (유방암, 전립선암, 신장암, 폐암 및 간암의 전이)
기타 척추종양
보라매병원 척추신경종양센터 특징
우수한 의료진
첨단 치료
다학제 협진
조기진단
신경학적 검사
척추 및 척추 신경종양은 종양의 위치에 따라서 다양한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목쪽인 경추쪽에 위치하면, 경추부 통증, 상/하지의 감각이상 또한 상,하지 위약감이 발생하며, 흉추에 위치한 경우에는 등의 통증 및 종양 발생 아래 부위의 감각 이상 및 위야감이 발생하며, 요추에 발생한 경우에는 허리 통증 및 하지의 통증과 하지의 일부 부위의 위약감이 발생합니다. 이라헌 이상 소견은 전문가의 신경학적 검사를 통해서 이상을 감지하고, 진단을 위한 검사를 통하여 정확한 진단을 조기에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확진검사
자기공명영상
척추 및 척추 신경종양을 진아하는데 가장 좋은 방법으로, 여러 각도의 영상 및 조영 증강 영상을 통해서 종양의 성상 및 크기, 범위 주변 신경과의 관련성을 장확히 알 수 있다.
전산화
단층 촬영
척추의 파괴 정도를 평가 할 수있다.
골주사
척추의 종양성 병변의 진단에 있어 민감도가 높은 검사로 척추체 및 기타 부위로의 원발암 전이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경피적
척추 생검
생검을 통한 조직 확인 후 향후 치료의 방침을 결정하기 위해서 시행하며 투시 검사나 전산단층촬영 유도하에 시행된다.
원발성 척추 및 척추 신경종양, 특히 양성 종양의 경우 신경 기능 보존하면서 완전 적출을 시도되어야 하며, 완전 적출이 이루어지면 신경학적 회복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종양 재발을 방지 할 수 있다. 최첨단 장비를 이용하여 보라매 병원에서는 원발성 종양의 경우 완전 적출을 진행하고 있다.
척수종양의 경우 육안으로는 완전 제거한 경우에도 일부 잔재 종양이 재발하는 경우에는 , 최근에는 방사선학적 치료를 추천기보다는 잔여 종양이 성장하는 경우에 재수술을 고려하는 전략을 진행한다.
흉추에서 발생되는 신경초종 중에서 흉곽내로 주로 성장되는경우에는 흉추 내시경을 통하여 완전 제거 하거나, 일부 잔재하는 흉추 척추강내 종양은 신경외과에서 잔재 종양을 추가로 제거한다.
척추 및 척추 종양 방사선 치료는 척추강내 종양이 완전 절제가 불가능하거나, 전이성 척추암의 경우에 수술 후 남은 병변에 대해서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며, 이때 방사선 종양학과 전문의의 계획에 따라 적절한 방사선 조사선량과 횟수를 결정하게 된다.